본문 바로가기
상식

세상에서 가장 깊고 높고 넓은 곳

by 수완킴 2021. 1. 3.
반응형

오늘은 세상에서 가장 깊고 높고 넓은 곳에 대해 알아봅시다. 포스팅은 아래 목차순으로 진행됩니다.
1. 세상에서 가장 깊은 곳 : 동굴, 호수, 강, 바다, 인공구멍
2. 세상에서 가장 높은 곳 : 산, 건물
3. 세상에서 가장 넓은 곳 : 폭포, 호수, 강
특정 항목이 궁금하다면 Ctrl + F를 눌러 검색하세요.

 

1. 세상에서 가장 깊은 곳

1) 가장 깊은 동굴
보로냐 동굴(Veryovkina Cave)로 깊이는 2,212m입니다. 이 동굴은 조지아에 있습니다. 참고로 두 번째로 깊은 동굴은 크루베라 동굴(Krubera Cave)로 깊이는 2,197m인데, 이 곳도 역시 조지아에 있습니다.

2) 가장 깊은 호수
최대 수심이 1,642m인 러시아의 바이칼호가 세계에서 가장 깊은 호수입니다.

3) 가장 깊은 강
최대수심이 220m인 아프리카의 콩고강이 세계에서 가장 깊은 강입니다.

4) 가장 깊은 바다
태평양 괌 가까이 위치한 마리아나 해구가 가장 깊은 해구로, 수심이 11km나 됩니다.

5) 가장 깊게 판 인공 구멍
2011년 러시아의 사할린 섬에서 Odoptu OP-11 시추공이 뚫은 구멍이 가장 깊습니다.

 

 

2. 세상에서 가장 높은 곳

1) 세계에서 가장 높은 산
기준을 어디로 두느냐에 따라 가장 높은 산이 달라집니다.
- 해수면을 기준으로 하면 히말라야 산맥 중 에베레스트산이 해발고도 8,848m로 가장 높습니다. 이 산은 네팔과 티베트 국경에 있답니다.
- 해저를 기준으로 놓으면 10,100m의 하와이의 마우나케아산이 가장 높죠.
- 지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두면 안데스 산맥의 침보라소산이 가장 높답니다.
이런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는 지구가 볼록한 타원형이기 때문입니다. 적도의 지름이 남극-북극의 지름보다 더 길기 때문에 적도 가까이에 있는 침보라소산이 에베레스트보다는 지구 중심에서 가장 먼 곳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죠.

2) 각 대륙과 한국에서 가장 높은 산
해발고도를 기준으로 두고 알아봅시다.
- 유럽 : 보통은 알프스 산맥의 몽블랑산이 4,810m로 가장 높다고 합니다. 하지만 캅카스 산맥을 유럽과 아시아의 경계로 보면 캅카스 산맥의 화산인 엘브루스산이 가장 높습니다.
- 북미 : 로키 산맥의 매킨리산이 6,194m로 가장 높습니다. 이 산은 미국에 위치해 있어요.
- 남미 : 안데스 산맥의 아콩카과산이 6,962m로 가장 높습니다. 이 산은 아르헨티나에 있습니다.
- 아프리카 : 탄자니아의 킬리만자로산이 5,895m로 가장 높습니다. 이 산은 화산이기도 합니다.
- 오세아니아 : 뉴질랜드의 쿡산(아오라키 마운트 쿡)이 3,724m로 가장 높습니다.
- 우리나라 : 백두산이 2,750m로 가장 높지만, 남한으로 한정 지으면 제주특별자치도의 한라산이 1,947m로 가장 높습니다.

3) 가장 높은 건물
세계에서 가장 높은 건물은 부르즈 할리파입니다. 무려 829.8m나 되죠. 아랍에미리트 최대 도시인 두바이에 위치해 있습니다.
대한민국에서는 서울의 롯데월드타워가 555m로 가장 높습니다.

 

 

3. 세상에서 가장 넓은 곳

1) 세계에서 가장 넓은 폭포
잠비아와 짐바브웨 사이에 위치한 아프리카의 빅토리아 폭포입니다. 너비는 1.7km, 높이는 108m입니다.

2) 가장 넓은 호수
아시아와 유럽 사이의 카스피해가 371,000 제곱킬로미터로 가장 큽니다. 하지만 카스피해는 바다와 호수 중간의 바다형 호수이기 때문에 민물로 한정하면 캐나다와 미국에 걸쳐져 있는 117,700 제곱킬로미터의 미시간-휴런호가 가장 크지요.

3) 가장 넓은 강
세계에서 가장 큰 강은 안데스산맥에서 대서양으로 흐르는 남아메리카의 아마존강입니다. 면적이 7,050,000 제곱킬로미터나 됩니다.

 

728x90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문예절  (0) 2021.01.28
태양과 달에 대한 토막상식  (0) 2021.01.14
일상에서 자주 만나는 속담  (0) 2021.01.02
일상에서 자주 만나는 사자성어  (0) 2021.01.01
비슷한 조류 구분하기  (0) 2020.12.3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