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분류 전체보기99

부속고기 총정리 이번 포스팅에서는 우리가 흔히 먹는 소, 돼지, 닭의 부속을 정리해보겠습니다. 1. 소의 부속고기 1) 소머리 : 소머리 국밥으로 해 먹는 바로 그 부위입니다. 한 그릇 먹고 나면 속이 훈훈하죠. 2) 우설 : 소의 혀 부위입니다. 삶아서 수육처럼 해 먹거나 구워서 레몬 소스에 찍어 먹습니다. 기름지며 식감은 부드럽습니다. 3) 소염통 : 소의 심장입니다. 지방이 거의 없죠. 구워 먹으면 됩니다. 4) 소간 : 소의 간입니다. 철분과 엽산이 풍부하죠. 생으로 먹으면 기생충에 감염될 수 있기 때문에 꼭 익혀 먹어야 합니다. 볶거나 스테이크로 먹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5) 양 : 한때 저는 양곱창을 양(Sheep)의 곱창이라고 착각하기도 했는데요, 사실 양은 소의 위입니다. 되새김질을 하는 반추동물인 소는 .. 2021. 1. 16.
라면 맛있게 끓이는 법 거의 주식이라 할 만큼 어렸을 적부터 많이 먹어온 라면. 오늘은 이 라면을 맛있게 끓이는 방법에 대해 공유해보려 합니다. 특별한 재료를 첨가하기보다는 진짜로 집에 갖춰두고 있을 법한 재료들을 활용한 레시피를 알려드리겠습니다. 1. 식초와 설탕 첨가하기 우선 물을 끓입니다. 수프는 면 끓기 전에 넣어도 되고, 면 넣으면서 같이 부어도 되죠. 중요한 건 면을 넣을 때 식초 반 스푼과 설탕 반 스푼을 첨가하는 겁니다. 시큼한 맛을 즐기는 분들은 식초를 더 많이 넣으셔도 되겠죠. 새콤달콤하지만 본연의 맛은 해치지 않는, 미묘하게 업그레이드된 맛의 라면이 됩니다. 혹자는 분식집 라면 맛이랑 비슷하다고 하더군요. 2. 쌈장 풀기 물을 올려두고 쌈장을 반 스푼 정도 풀어줍니다. 당연히 수프는 반 정도만 넣어야 짜지 .. 2021. 1. 15.
태양과 달에 대한 토막상식 매일 하늘을 밝게 비추는 태양과 달. 오늘은 이 태양과 달에 대해 설명해보려고 합니다. 먼저 태양의 크기와 구조, 여러 가지 활동들과 그것이 지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이어서 달의 특징과 구조, 여러 현상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I 태양 1. 태양의 크기 태양은 지구보다 33만배 더 무거우며, 태양계의 모든 행성들(수성, 금성, 지구,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등)을 합친 질량보다는 750배나 무겁답니다. 그래서 태양계 전체 무게의 99%는 태양이 차지하고 있죠. 2. 태양의 구조와 활동 1) 내부와 표면 (1) 태양의 내부는 중심부인 핵부터 복사층, 접합층, 대류층 순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2) 태양의 표면은 '광구'라고 합니다. 우리가 볼 수 있는 밝고 둥근 부분이죠. 온도.. 2021. 1. 14.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