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분류 전체보기100 24절기 뉴스나 포털 메인에 가끔씩 등장하는 입춘이나 동지 등은 절기를 나타내는 단어들입니다. 이 절기라는 것은 농경시대의 산물이지만 현대에도 쓸만한 구석이 있습니다. 가령 대한보다 소한 즈음이 더 추우니 대비해야 한다던가, 입춘까지는 아직 춥고 경칩부터 슬슬 봄기운이 돈다던가 하는 부분은 참고할만하지요. 서론이 길었군요. 이 글에서는 총 24개의 절기를 처음부터 끝까지 살펴볼 것입니다. 봄 01. 입춘 : 양력 2월 4일 또는 5일 02. 우수 : 양력 2월 18일 또는 19일 03. 경칩 : 양력 3월 5일 또는 6일 04. 춘분 : 양력 3월 20일 또는 21일 05. 청명 : 양력 4월 4일 또는 5일 06. 곡우 : 양력 4월 20일 또는 21일 여름 07. 입하 : 양력 5월 5일 또는 6일 08. 소.. 2021. 2. 1. 선거에 대한 토막상식 이번 포스팅에서는 대한민국 선거의 종류와 4대 원칙, 그리고 투표와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봅니다. 1. 선거의 종류 1) 대통령선거 : 우리가 대선이라고도 부르는 대통령선거입니다. 대통령 임기는 5년이며 중임이 불가능합니다. 임기만료일 전 70일 이후 첫 번째 수요일에 선거가 치러지지만, 선거일이 공휴일 등일 때는 그 다음 주 수요일에 실시합니다. 이것은 아래 소개할 다른 선거도 마찬가지죠. 다음 대통령선거는 2022년 3월입니다. 2) 국회의원선거 : 국회의원 총선거, 줄여서 총선이라고도 부릅니다. 국회의원의 임기는 4년이며 재임이 가능합니다. 선거일은 임기가 만료되기 전 50일 이후 첫 번째 수요일입니다. 3) 전국동시지방선거 : 전국동시지방선거는 지방자치단체장 및 지방의회의원을 뽑습니다. 3번 재임이.. 2021. 1. 30. 조문예절 학생이나 사회초년생의 경우 갑자기 부고를 들으면 당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상가에는 언제 가야 하고, 가서는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잘 모르기 때문일 겁니다. 그래서 오늘은 기본적인 장례식장 예절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1. 조문 시기 1) 가까운 친척일 때는 신속하게 상가에 가서 함께 준비를 합시다. 2)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둘째날 낮에 입관이 끝나고 상주들이 성복을 한 뒤(정식으로 상복을 입는다는 의미입니다) 문상합시다. 최소한의 준비가 끝나기를 기다려주는 것이죠. 3) 둘째 날 자정 전후까지는 조문을 다녀오도록 합니다. 2. 복장 1) 검은 정장을 갖춰 입도록 합시다. - 정장이 없다면 최대한 무채색 계통으로 단정하게 입읍시다. - 화려한 무늬가 있거나 너무 밝은 옷은 피합시다. 2) 꼭 검은.. 2021. 1. 28. 이전 1 ··· 20 21 22 23 24 25 26 ··· 34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