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생활28 불면증 탈출기 몇 년간 새벽이 되어서야 겨우 기절하듯 잠들곤 했는데, 올해 들어서는 밤에는 푹 자고 아침이 되면 개운하게 일어나게 되었습니다. 오늘은 이렇게 규칙적인 수면 패턴을 가지는데 도움이 된 여러 방법들을 소개해보려고 합니다. 1. 잠자는 공간에 제한 두기 1) 우선 시간에 제한을 두었습니다. 기상하고부터 취침시간까지는 절대 침대에 눕지도 앉지도 않는 겁니다. 예컨대 아침 6시에 일어났으면 밤 11시까지는 절대로 침대 근처에도 가지 않는 식입니다. 귀가 후에 다소 피곤하더라도 씻지도 않고 뛰어드는 일이 없도록 애썼습니다. 바닥에서 주무시는 분들은 요와 이불을 안 보이는 곳으로 치워두는 것이 도움이 될 겁니다. 2) 그리고 용도도 제한을 두었습니다. 크게는 침실, 작게는 침대나 이불은 잠을 잘 때만 사용하는 거죠.. 2021. 1. 27. 쉽게 따라하는 명상법 어떤 문제로 짜증과 화가 치밀어 오를 때, 불안과 걱정으로 머릿속이 가득 찰 때, 여러분은 어떤 액션을 취하나요? 혹시 지나치게 달콤하거나 매운 음식을 먹어치우지는 않나요? 술을 왕창 마시거나 몇 시간 동안 게임에만 몰두하지는 않나요? 그런 행동들은 스트레스 상황에서 잠깐은 멀어지게 만들어 주겠지만, 직면하지 못한 문제는 사라지지 않고 그 자리에 그대로 있을 겁니다. 안 보는 동안 몸집을 늘리기도 하면서요. 그럼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일단 마음을 가라앉히고 머릿속을 환기시켜서 문제를 해결할 틈을 만들어야 합니다. 어수선한 마음과 머릿속이 정리되어야 문제를 제대로 마주할 기력도 생깁니다. 즉, 우리는 명상을 해야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명상법 몇 가지를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1.. 2021. 1. 25. 나트륨에 대한 토막상식 이번 포스팅에서는 나트륨이 과하거나 부족하면 어떤 증상이 나타나는지, 나트륨의 적당한 섭취량은 어느 정도인지,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조미료에 들어있는 나트륨의 양은 어느 정도 되는지를 알아보겠습니다. 1. 나트륨 과다/결핍 증상 '싱겁게 먹어야 건강하다'는 말을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실제로 나트륨의 과도한 섭취는 뇌졸중, 고혈압, 심혈관질환, 신장질환, 위암, 비만, 골다공증 등을 유발합니다. 단기적으로는 부종을 일으켜 몸이 붓기도 하고요. 하지만 완전히 나트륨을 배제하는 무염식도 건강에 치명적이죠. 나트륨이 부족하면 체내 수분 보유량이 줄어들어 저나트륨혈증으로 구토와 설사, 발한 등의 증세가 나타난답니다. 2. 적정 섭취량과 조미료의 나트륨 함량 세계보건기구(WHO)에서 권장하는 나트륨의 섭취량은 .. 2021. 1. 22. 이전 1 ··· 3 4 5 6 7 8 9 10 다음 728x90